a, d, n = input().split() #입력을 받아준다.
a = int(a) #시작 값
d = int(d) #등차의 값
n = int(n) #몇 번째 수 인지를 의미하는 값for i inrange(n-1): #몇 번째 수 인지를 의미하는 정수(n)-1을 해준다.
a += d #시작 값(a)에 등차의 값(d)를 더해준다.print(a)
코드를 짜는 것 자체는 어렵지 않았는데, [몇 번째]라는 개념과 [몇 번]이라는 개념이 헷갈렸다.
처음에는 a에 n번을 d만큼 더해서 나오는 값으로 생각했다.
그러나 수열을 손으로 직접 써 보면, (a = 1, d = 3, n = 5)
1
4
7
10
13
16
으로 5번째의 값은 16이 아니라 13이다.
이는 시작 값(a)도 첫 번째 값으로 여겨지기 때문이다.
따라서 for문에 n-1를 한 이유도 마찬가지이다. (그냥 n을 적으면 6번째 값이 출력된다.)